서울 한겨레두레공제조합 발기인대회 보도자료
서울 한겨레두레공제조합 발기인대회 보도자료입니다.
『 상조서비스의 새 지평 … 공제조합 틀 상포계 서비스 본격화
서울한겨레두레공제조합 24일 발기인대회 』
최근 유명 상조회사들의 대표들이 비리와 부정으로 줄줄이 쇠고랑을 차고 있습니다. 기존 상조회사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서 그 대안에 대한 관심도 높아가고 있습니다.
기존 상조회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우리나라 최초로 협동조합 방식의 공제조합 틀로 ‘상포계’란 상조 서비스를 하고자 하는 시민사회 인사들이 모여 24일 오후 7시 서울 중구 정동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서울한겨레두레공제조합 발기인대회를 엽니다.
한겨레두레공제조합 상포계는 조합원 1인당 매월 3만원씩 납부하는 조합비를 투명하게 관리하여 조합원들이 상부상조하는 공동체의 장례문화를 만들어나갈 것입니다. 장례식에서 이윤을 남기는 기존 상조회사들과 확연히 다르게 장례식 곳곳에 만연된 뒷돈(리베이트)과 장사물품의 폭리구조를 말끔하게 없앤 새로운 대안적 장례식을 실천에 옮길 것입니다. 이를 위해 맞춤형 장례 서비스와 장례 물품의 공동구매를 통해 장례 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방안도 마련했습니다.
서울한겨레두레공제조합 발기인 명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영우(논골신협 전 이사장), 유창복(성미산 마을극장 대표) 등 서울지역에서 공동체운동을 하시는 분들과 오성규(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운영위원장), 민종덕(전 전태일기념사업회 상임이사), 이병학(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장), 홍세화(한겨레신문 기획위원), 박인규(프레시안 대표), 이문재(시인), 김형태(변호사), 천낙붕(변호사), 노금선(회계사), 김재현(건국대 교수, 희망제작소 부소장), 김도현(뿌리의 집 대표), 유재현(소나무출판사 대표) 등 60명입니다.서울한겨레두레공제조합 상포계는 일반 상조회사들의 상조상품과 달리 장례식의 전 영역을 포괄해서 조합원 상주들에게서비스와 장사물품 등을 제공합니다. 즉, 매장과 화장(납골당), 장례식장, 음식, 그리고 염습과 장사물품(상조상품 영역) 등 장례식 전체 진행을 공동구매를 통해 단계별로 조합원에게 제공합니다. 조합원 가족의 상이 났을 때 조합원 상주와 그 자리에서 협의를 통해 맞춤형으로 장례식 방식과 진행 절차를 결정합니다.조합원의 조건에 맞추어 상을 치르는 이런 맞춤형 장례식은 다음과 같은 상포계의 운영 원칙에 따라 진행됩니다. 첫째, 장례식 뒷돈을 모조리 없앴습니다. 상포계는 상부상조의 신뢰를 바탕으로 일체의 뒷돈(리베이트)을 받지 않고 투명하고도 경건하게 공동체 정신으로 장례식을 진행합니다. 뒷돈을 받은 것이 장례식 도중이나 사후에 드러날 경우에는 한두레공제조합은 조합원에게 뒷돈이 거래된 분야의 비용 전체를 배상합니다. 그리고 공제조합은 즉각 해당 장례지도사의 조합원 자격을 박탈하고, 그 장례지도사에게 구상권을 행사합니다. 둘째, 장사물품 폭리 구조를 깨끗이 없앴습니다. 상포계는 수의, 관, 생화제단 등 장사물품의 가격 거품